2010년 12월 29일 수요일

가계 평균자산 2억7천만원…부채 4263만원

가계 평균자산 2억7천만원…부채 4263만원
소득 상위 10%가 전체자산의 47% 보유
자산 76%가 부동산…소비위축 주범
기사입력 2010.12.29 17:35:41 | 최종수정 2010.12.30 07:24:14트위터 미투데이 블로그 스크랩
`30ㆍ40대에는 집을 마련하기 위해 소득을 쏟아붓다가 50대에는 자녀교육, 결혼비용으로 다시 빚을 내고 60대 이후에는 수입 감소로 재산을 까먹게 되는 인생.`

통계청, 금융감독원,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`2010년 가계금융조사`에 나타난 우리나라 가계의 자화상이다. 서로 각자 통계를 내던 세 기관이 손을 잡고 가계금융 상황을 처음으로 집중 해부했다. 지난 4~5월 1만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뒤 7개월간 분석했다.

이번 조사에 따르면 전반적인 가계에 당장 큰 위험 요인이 없었다. 그러나 취약계층은 부채상환 능력이 취약해 위기가 오면 `도미노식` 연쇄 충격이 올 염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정부가 만기를 연장해 가며 이자만 갚는 담보대출을 줄이겠다고 나섰기 때문에 이런 위험 요인은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.

◆ 취약계층이 최대 리스크 요인

= 소득이 적을수록, 나이가 많을수록 부채상환 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졌다.

소득 1분위(소득 하위 20%, 월평균 소득 105만8000원)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총부채 배율이 5.85배로 나타났다. 이에 비해 소득 5분위(소득 상위 20%, 월평균 소득 726만3000원)는 2.11배에 불과했다. 나이가 많을수록 처분가능소득 대비 총부채 배율이 높았다. 30세 미만에서는 0.81배에 불과하지만 △30대 1.69배 △40대 1.97배 △50대 2.39배 △60대 3.47배로 크게 상승했다. 은퇴 이후 수입이 줄기 때문에 빚을 내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.

김신호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"취약계층의 부채 문제가 생기면 다른 계층으로 확산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이 중론"이라고 말했다.

순자산 기준 5분위로 나눠 보면 1분위(순자산 하위 20%) 순자산은 가구당 평균 158만원인 데 비해 5분위(순자산 상위 20%)는 7억4863만원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. 상위 10%가 순자산의 47.2%를 보유하고 있어 자산 배분 불균형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.

◆ 자산의 부동산 집중

=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평균 자산보유액은 2억7268만원으로 부동산 편중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.

부동산 자산보유액은 2억661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75.8%를 차지했다. 이 중 거주 주택은 1억1564만원으로 42.4%에 달했다. 소비 여력이 떨어지는 이유다. 이에 비해 금융자산은 5828만원으로 자산의 21.4%를 구성했다.

가계 평균 부채보유액은 4263만원이었다. 최훈 기획재정부 자금시장과장은 "우리나라 가계의 자산ㆍ부채는 주거 목적, 주택 구입 등 부동산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증가해 왔음을 시사한다"고 말했다. 재정부는 부동산 담보대출 만기 일시 상환 비중이 높아져 경제 여건 변화에 따른 민감도가 높은 상황으로 분석했다.

◆ 부채로 허리가 휘는 40ㆍ50대

= 소득분위별로 나눠서 살펴보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저축을 통한 자산 축적이 상대적으로 커졌다.

자산 대비 저축액 비중이 1분위(소득 하위 20%)는 9.8%에 그쳤지만 5분위(소득 상위 20%)는 16.6%로 높게 나타났다. 5분위는 집을 보유한 사람이 많아 금융 투자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.

부채를 갖고 있는 가구의 비중은 4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. 30세 미만에서 부채가구 비중은 48.7%에 불과하지만 30대에는 67.7%로 높아졌고 40대에는 71.1%로 피크를 이뤘다.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자녀 교육비ㆍ혼인비 등 지출이 크게 늘어나는 50대에 최고치(0.88배)를 이뤘다.

소득이 낮을수록 담보대출이 아닌 신용대출 비중이 높았다. 1분위는 신용대출 비중이 15.6%로 나타났지만 5분위는 9.5%에 그쳤다. 일반적으로 신용대출 금리가 담보대출 금리보다 높은 점을 감안하면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.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"금융당국이 점차 대출 거치기간 연장을 제한해 나갈 경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현금 흐름이 더욱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"고 지적했다.

[박용범 기자]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